티스토리 뷰

반응형

리스트

 

티끌 모아 태산이라고,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모아가다 보면 언젠가는 큰 것이 된다는 유명한 속담인데요. 
특히 자산관리에 너무 잘 들어맞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월급쟁이로 불리는 대다수 근로자들은 각자 소득에 한계가 있다는 생각으로 자산을 모으는 것이 어렵게 느껴집니다. 
충분한 소득이 있다면 자산을 모으기가 쉬울 것 같지만 의외로 씀씀이가 커져 생각보다 자산이 잘 모이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적은 소득일지라도 일정비율을 꾸준하게 저축하고 투자하는 자산관리가 중요한 것입니다. 
최대한 빨리 종잣돈을 만들고, 그 종잣돈을 잘 운용해가다가 돈이 돈을 벌어오는 수준에 도달하면 자산만으로도 적지 않은 소득을 만들 수 있습니다. 


상위 소득자의 자산 파보기


상위 근로자 가구들을 분석해보면 전체 소득에서 재산소득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상위 1~10%까지 근로자 가구의 현황분석을 통해 월급쟁이가 부자로 살아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힌트들을 찾아보겠습니다.

상위 근로자의 자산현황
상위 근로자의 자산현황

 

상위 근로자 가구의 자산현황

 

2023년 기준 상용근로자 가구 순자산 상위 10%는 10억원, 1%는 27억원 입니다.
최상위 0.1% 가구 순자산은 약 62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순자산이 27억 원인 근로자 상위 1% 가구 안에만 들어도 충분히 부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4% 법칙1에 따라 매년 1억 원 정도 사용해도 문제없으니 살아가는 동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정도입니다.

상위 10%의 자산 구성
상위 10%의 자산 구성
 

문제는 부동산 위주의 자산구성

 

4% 법칙은 매년 인출이 필요하기 때문에 금융자산이라는 전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자산규모 측면에서는 문제가 없을지 몰라도 자산구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상위 10% 근로자 가구 자산구성을 살펴보면 금융자산이 23.2%, 부동산 등 실물자산이 76.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상위 1% 기준으로는 평균 총자산 약 46억 원(순자산 42억 원) 중 금융자산 20.7%, 실물자산 79.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총자산 30억 원을 가정해도 금융자산이 6억~7억 원으로 10억 원이 채 안 되는 상황입니다. 

상위 10% 가구가 희망하는 평균 은퇴생활비(월 483만 원, 부부 2인)에 해당하는 현금흐름을 만들려면 15억 원 이상이 필요합니다. 
10억 원으로 만들 수 있는 현금흐름은 연 4,000만 원 정도이니 은퇴 후에도 부자라고 자신감을 가지기에 어렵게 느껴집니다. 
한편 상위 10% 근로자가구 부동산 구성은 거주주택 42.3%, 거주 이외 부동산이 32.3%를 차지하고 있어, 수익형 부동산으로 추가 현금흐름을 만들어 낸다면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수도권에 사는 경우라면 거주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니 은퇴 전 금융자산 확보가 더욱 중요합니다.
상위근로자의 시장과 부채를 보는 시각
상위근로자의 시장과 부채를 보는 시각
 

잘 쓰면 약, 잘 못 쓰면 독이 되는 부채

 

상위 10% 근로자 가구의 72.1%가 부채를 사용하고 있지만 평균 자산(21억8,000만 원) 대비 평균 부채(2억7,000만 원) 비율은 12.3%로 안정된 구조입니다. 
상위 1% 가구는 부채비율이 9.9%로 더욱 안정적인 수준입니다. 

부채는 적당한 시점에 적절하게 사용하면 자산증대에 많은 도움이 되지만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자산을 감소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자산의 일정비율을 넘어서는 무리한 대출은 절대 금물입니다. 
부채사용도 자산관리의 습관입니다. 
빨리 자산을 늘리고 싶어 대출을 일으켜 무리하게 투자하기보다는 조금 시간이 걸릴지라도 때를 기다릴 줄 아는 자산관리를 해야 합니다. 

생애에 걸쳐 자산관리를 하다 보면 다양한 기회와 위기가 찾아옵니다.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부채비율을 적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는 방법이 장기적인 자산관리에도 훨씬 나은 결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금융투자에 좀 더 적극적으로

 

여유자금 발생 시 주된 운용방법을 보면 상위 10% 근로자 가구의 경우 저축이나 금융투자를 하겠다는 비중(54.4%)이 전체 평균(45.9%)보다 높습니다. 
반면 부동산 구입이나 부채상환을 하겠다는 비중은 전체 평균보다 낮게 나타납니다. 

금융자산 투자 시 선호하는 운용방법을 살펴보면 역시 예금에 대한 선호도(73.5%)가 가장 높아 보수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전체 근로자 평균(85.6%)보다는 낮고, 주식·펀드의 경우 23.1%로 전체 평균(12.0%)에 2배 가까이 선호하고 있습니다. 

투자 시 고려사항으로 안전성(60.9%)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으나 수익성(31.1%)은 전체 평균(22.6%)보다 높아 상대적으로 금융투자에 적극적인 자세입니다. 
과거 성장기와 달리 안전자산만으로 자산증대에 분명 한계가 있습니다. 
장기투자, 분산투자 등 투자원칙을 지키며 수익성을 더 적극적으로 제고하는 투자에 나설 때입니다. 
특히 경제활동기에 퇴직연금(DC·IRP)이나 연금저축 등을 통해 적립식으로 장기투자를 해간다면 희망하는 은퇴자산을 쌓을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외 소득
근로소득외 소득

 

부자로 가는 지름길, 재산소득

 

상위 1% 근로자 가구의 연간소득은 약 3억 원으로 이 중 근로소득은 2억 원이 조금 넘고 재산소득은 평균 5,714만 원입니다. 
상위 10% 근로자 가구 평균과 비교해보면 연간소득 1억8,700만 원, 이 중 근로소득은 1억5,000만 원에 조금 못 미치고, 평균 재산소득은 2,566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근로소득에서는 1.5배 정도 차이가 나고, 재산소득에서 2.2배 정도 차이가 납니다. 
1차적으로는 많은 근로소득이 자산에 영향을 미치겠지만 자산관리를 통한 재산소득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모습입니다. 
상위 10% 근로자 가구는 처분가능소득 중 6,055만 원(44.6%)을 소비지출하고, 7,536만 원(55.4%)의 저축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월평균 500만 원 정도 지출하고 있는 셈인데 상위 1% 가구로 올라가면 소비지출은 월 700만 원 정도로 더 많아집니다. 

은퇴 후 근로소득이 중단되는 경우 연금 등 별도 노후자산을 준비하지 못했다면 재산소득이 충분해야 은퇴 후 생활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국 부자로 가는 길은 경제활동 기간에 일정 수준 이상 재산소득을 만들 수 있을 만큼 자산을 축적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