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리스트
캐피탈채 발행사
캐피탈채 발행사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캐피탈채 인기


금리인하에 따라 캐피탈채 수요가 늘면서 캐피탈사의 채권 발행액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기가 도래하면서 캐피탈채 시장이 점차 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인하 기대가 높아지면 채권 수요가 증가합니다. 
채권을 만기 전에 파는 경우 금리인하 시 매매차익을 얻을 수 있어서입니다. 
채권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금리가 내려가면 가격이 높아져 채권을 매도할 때 차익이 생깁니다.

발행액
발행액

 

케피탈채 수익 발생

 

캐피탈채는 다른 회사채보다 안정적이면서 예금보다 높은 이자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 
최근 3개월 채권발행에 성공한 캐피탈사는 대부분 금융지주나 대기업 등 자본력 있는 모회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신용등급이 아주 높지 않더라도 유사시 모회사가 자금을 투입할 것으로 예상돼 안정적이라고 여겨집니다. 
최근 3개월 새 발행된 A0등급 캐피탈채의 표면이율은 4.6~5.2%로, 금융기관 예금금리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은 수준입니다.



 

 

 

녹색채권 발행액
녹색채권 발행액




1년 만기 정기예금에 연 3.5% 금리로 3000만원을 넣어놓으면 세후이자가 90만원을 밑돌지만 캐피탈채에 투자하면 1년5개월 뒤 원금과 함께 160만원의 이자를 실수령할 수 있습니다.
은행과 저축은행·상호금융까지 예금금리가 3%대로 내려앉아 재예치를 해도 이자 매력이 크지 않습니다.

최근 3개월간 발행된 만기 2년이상 캐피탈채는 12조2090억원입니다. 
지난해 같은기간 발행된 캐피탈채는 8조7730억원으로, 1년 새 채권 발행액이 39% 급증했습니다.

특히 신용도가 높은 캐피탈사의 채권 발행이 두드러집니다. 
지난 3개월간 발행된 A+ 신용등급의 만기 2년이상 캐피탈채는 총 1조44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000억 원)보다 188% 늘었습니다.

캐피탈사 순익
캐피탈사 순익

 

 

캐피탈채 순발행액
캐피탈채 순발행액

 

캐피탈채(여신전문금융회사채)란?

 

캐피탈채는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들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을 말합니다. 

여신전문금융회사는 예금 수신 기능이 없는 대신, 주로 다음과 같은 사업을 영위합니다.
- 할부금융: 자동차, 가전제품 등 내구재 구매 시 자금을 빌려주고 할부로 상환받는 서비스.
- 시설대여(리스): 기업이나 개인이 기계, 장비, 자동차 등을 직접 구매하지 않고 캐피탈사가 대신 구매하여 대여해주는 서비스.
- 신기술사업금융: 신기술을 개발하거나 이를 이용한 사업을 하는 기업에 투자하거나 융자해주는 서비스.
- 신용카드 사업: 카드론, 현금서비스 등 신용카드 관련 금융 서비스 (카드사도 여전사에 속함).

캐피탈채는 여신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일반 투자자들로부터 빌리는 수단이며, 발행 대가로 투자자에게 이자를 지급합니다.

캐피탈채 통합
캐피탈채 통합 대환

 

금리 인하 기대감과 캐피탈채의 관계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질 때 우량 캐피탈채가 주목받는 이유는 채권의 가격 변동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 채권 가격과 금리는 역의 관계: 시장 금리가 하락하면 기존에 발행된 채권의 가격은 상승하고, 채권 금리(수익률)는 하락합니다. 
반대로 시장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은 하락하고 채권 금리는 상승합니다.

- 자본 차익 기대: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되면, 채권 투자자들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채권의 가격이 오를 것으로 기대하여 자본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채권은 만기가 길수록 금리 변동에 따른 가격 변동성(듀레이션)이 커지므로, 금리 인하가 예상될 때는 만기가 긴 채권의 매력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 조달 금리 하락: 캐피탈사 입장에서는 금리 인하로 인해 자금 조달 비용(채권 발행 금리)이 낮아져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시 캐피탈사의 신용도를 더욱 강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신용 스프레드 축소: 기준금리 인하 시 여전채(캐피탈채 포함)의 신용 스프레드(국고채 금리와의 차이)도 축소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즉, 여전채 금리가 국고채 금리에 더 근접하게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납 수 있습니다. 
우량 채권일수록 이 스프레드가 더 안정적으로 유지되거나 축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응형